본문 바로가기
경제

경제 공부 9월 2주

by 공힘 2025. 9. 14.

1. 시점의 변화: 

기존에는 10월 30일을 변곡점으로 잡았지만, 현재는 이 시점이 10월 고 볼 수 있습니다.
그 이유는 시장의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주요 이벤트들이 예상보다 빠르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입니다. 투자자들은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 가장 빠르게 반응하는데, 현재 진행 중인 정책 및 발언 변화가 그 신호를 주고 있습니다.


2. 파월 의장의 기조 변화 (잭슨홀 미팅)

  • 과거 입장: 파월은 그동안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을 우려했습니다. 즉, 관세라는 외부 요인이 물가를 높일 수 있다고 보고,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으려는 태도를 유지했죠.
  • 현재 입장: 그러나 최근 잭슨홀 미팅에서 파월은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은 일시적인 요인에 불과하다고 언급했습니다.
    • 이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장기적인 문제가 아니라 단기적·외생적 변수로 본다는 의미입니다.
    • 동시에 미국 내 고용이 둔화되고 있다는 신호가 잡히면서, 연준은 완화적 기조(금리 인하, 유동성 공급)로 전환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했습니다.

👉 인과관계: 고용 둔화 → 경기 둔화 우려 확대 → 긴축 유지 시 더 큰 경기침체 위험 → 따라서 연준은 선제적 완화 필요성을 느끼게 됨.


3. 지정학적 이벤트와 유가 안정

최근 국제 정세에서도 긍정적 신호가 나타났습니다.

  • 시진핑–푸틴–김정은 회동: 주요 강대국 간의 만남은 긴장 완화와 협력 신호로 해석됩니다.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줄어드는 것은 금융시장에서 리스크 프리미엄 축소로 이어집니다.
  • 유가 안정화: 공급 우려가 완화되면서 유가가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 이는 곧 물가 안정으로 연결됩니다.

👉 인과관계: 유가 안정 →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 → 연준의 금리 인하·유동성 공급 여력 확대.


4. 월러(Fed 이사)의 영향력

최근 미국 금융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인물이 월러 연준 이사입니다.

  • 월러는 금리 인하는 늦출수록 위험하다는 입장을 반복적으로 주장했습니다.
  • 그의 의견은 점차 시장의 컨센서스로 자리잡았고, 실제로 금리 인하 사이클이 앞당겨질 것이라는 기대를 강화했습니다.

👉 인과관계: 월러 발언 → 시장 신뢰 확보 → 금리 인하 기대감 반영 → 주식시장 선행 반응.


5. 부채 사이클의 현재 위치

보고서는 지금을 부채 사이클의 초입으로 보고 있습니다.

  • 부채 사이클 초입에서는 기업과 가계의 부채 확장이 성장과 고용, 자산가격(주식 포함)을 끌어올립니다.
  • 하지만 이 사이클은 무한히 지속되지 않습니다.
  • 향후 원자재 급등이나 전쟁 등 공급 충격이 발생하면 부채 사이클은 급격히 꺾이고 버블 붕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
👉 지금은 아직 초입이기 때문에 주식 상승세가 유지될 수 있지만, 장기적으로는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는 점을 경고하는 부분입니다.


6. 현재 시장 사이클의 성격

  • 현재는 전쟁이 발발하기 이전의 평화와 유동성 확장 구간으로 평가됩니다.
  • 이 구간에서는 유동성이 시장으로 흘러 들어오면서 주식시장 상승을 견인합니다.
  • 그러나 사이클은 항상 버블의 형성과 붕괴로 끝나기 때문에, 지금은 상승을 즐기되 나중에 올 리스크 이벤트(공급 충격, 전쟁 가능성)에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.

👉 인과관계: 평화·유동성 확장 → 위험자산 선호 증가 → 주식 상승 → 향후 공급 충격 발생 시 버블 붕괴.


7. 결론 및 투자 시사점

  • 단기(10월 10일까지): 불확실성 해소가 예상보다 빨라지고 있어 시장이 긍정적으로 반응할 가능성이 큼.
  • 중기(부채 사이클 진행): 부채 확장에 기반한 성장과 함께 주식 상승세가 이어질 수 있음.
  • 장기(사이클 종료): 원자재 급등이나 지정학적 충격이 발생하면 사이클은 버블 붕괴로 끝날 수 있으므로 장기적 리스크 관리 필요.

📌 핵심 정리

  • 연준: 금리 인하 기조 전환 → 유동성 확대
  • 국제정세: 긴장 완화 + 유가 안정 →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
  • 시장: 단기 불확실성 해소 + 부채 사이클 초입 → 주식시장 상승세 유리
  • 리스크: 공급 충격·전쟁 등 장기적 불안 요소는 여전히 존재

이렇게 정리하면, 보고서가 말하고자 한 시점 변화–연준 기조 변화–국제정세–부채 사이클–시장 전망까지 모두 포함한 구조가 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