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경제

경제 공부 0904

by 공힘 2025. 9. 6.

1️⃣ 핵심 요약

  • 포트폴리오 부진 이유: 유동성 증가(부채 확대)를 기대했으나, 실제론 유동성 흡수 국면.
  • 주요 흐름:
    • 전 세계 재무부가 국채 발행(→ 현금 흡수 → 금리 상승)
    • 일부 단기채 발행 + 장기채 바이백(→ 시장 충격 완화)
    • 유동성이 줄어들며 주식시장 정체, 특히 유동성 민감한 소형 테마주(예: 양자컴퓨터) 급락
  • 큰 그림:
    • 재무부: 현금을 흡수해 정부 정책에 자금 투입
    • 연준: 후행적으로 금리 인하 시 전체 유동성 확대 가능
    • 따라서 현재 시장은 “조정·정리 과정
  • 핵심 변수: 인플레이션 → 낮아진다면 연준 금리 인하 가능

2️⃣ 인과관계 해설

(1) 재무부의 국채 발행 → 금리 상승

  • 국채 = 정부의 부채 증서. 발행이 늘면 채권 공급↑
  • 수요 대비 공급이 많으면 이자(=수익률, 금리)를 높여야 팔림
  • 결과적으로 채권금리 상승 = 금융시장 자금 흡수

👉 금리 상승 = 기업 차입비용↑ = 주식시장에 악재


(2) 유동성 정리 과정

  • 현금 → 단기채로 흡수
  • 장기채는 시장 부담이 커서, 일부 바이백(재매입)으로 충격 완화
  • 즉, 시장에 흩어진 유동성을 재무부가 정리 → 정책 방향으로 재투입 준비

👉 지금은 “돈을 흡수하는 국면”이라 주식시장에 새 돈이 들어오기 어려움


(3) 유동성 민감 자산의 반응

  • 유동성 줄어듦 → 변동성이 큰 소형 성장주, 테마주(양자컴퓨터 등) 먼저 타격
  • 대형주(빅테크, S&P 500)는 상대적으로 방어적

👉 “물이 적어질 때 작은 잔이 먼저 마른다”는 비유와 같음


(4) 연준의 역할

  • 재무부가 현금 흡수 → 정책 집행
  • 이후 연준이 금리를 내리면 → 다시 시장 전체 유동성 확대
  • 즉, 재무부(선행) → 연준(후행) 구조

👉 현재는 “조정기 → 향후 금리 인하 기대” 구간


(5) 인플레이션 = 핵심 변수

  • 인플레이션 낮음 → 연준 금리 인하 가능
  • 인플레이션 높음 → 연준 금리 인하 불가
  • 최근:
    • OPEC 증산 검토 → 유가 안정 기대
    • 중국·러시아 가스관 협력 → 에너지 공급 안정
    • 미국·사우디 협력 → 원유 안정적 공급

👉 글로벌 협력으로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 → 연준 금리 인하 여지 확대


3️⃣ 투자 관점 정리

구분현 상황투자 영향
유동성 흡수 국면 단기 조정, 성장주 부진
채권금리 상승 중 주식시장 압력, 특히 소형주 타격
재무부 현금 흡수·정리 정책 집행 준비
연준 아직 금리 인하 X 향후 인플레이션 낮아져야 가능
인플레이션 안정 신호(유가·가스 공급 확대) 금리 인하 기대 ↑
섹터 빅테크 상대적 방어 / 소형 테마주 약세 분할 매수 전략 유효

4️⃣ 오늘의 핵심 개념 다시 이해하기

  • 유동성 (Liquidity): 시장에서 현금이나 현금처럼 쉽게 쓸 수 있는 자금. 많으면 주가 ↑, 적으면 주가 ↓
  • 채권 금리 (Bond Yield): 채권을 사주는 대가로 지급하는 이자율. 국채 발행↑ → 금리↑
  • 바이백 (Buyback): 정부가 채권을 다시 사주는 것. 시장 충격 완화용 완충 장치
  • 레버리지 (Leverage): 자산을 담보로 돈을 더 빌려 투자하는 것. 담보 가치가 높을수록 더 빌릴 수 있음
  • 인플레이션 (Inflation): 물가 상승률. 금리 인하 가능성의 최대 변수

✅ 결론

  • 지금은 “유동성 정리 국면” → 주식시장 답답
  • 그러나 10월 말까지 재무부의 흡수 과정 →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
  • 인플레이션 안정 여부가 모든 것의 열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