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131 2025 국민내일배움카드 추가 지원 혜택 취업, 이직, 창업을 준비하시는 분들께 좋은 소식이 있습니다. ‘국민내일배움카드’를 활용하면 직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훈련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. 특히 2025년부터는 취약계층에게 더 많은 혜택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. 어떤 변화가 있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. 취약계층 훈련비 추가 지원 2025년부터 고용 상태가 불안정한 근로자들의 훈련비 지원이 대폭 확대됩니다. ‘기간제’, ‘단시간’, ‘파견’, ‘일용근로자’ 및 ‘고용위기지역’, ‘특별고용지원업종 종사자’가 대상입니다.기존 지원: 계좌 한도 300만 원 소진 시 추가 100만 원 지원변경 사항: 계좌 한도 300만 원 소진 시 추가 200만 원 지원이를 통해 취약계층은 최대 500만 원까지 훈련비를 지원받아 더 많은 기.. 2025. 1. 22. 주택담보대출 중도상환수수료율 인하 2025년 1월 13일부터 주택담보대출(주담대) 및 기타 대출의 중도상환수수료율이 실비용 내에서만 부과되도록 개편되었습니다. 이는 금융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고 불합리한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치입니다. 주요 변경 사항 ✓ 중도상환수수료율 인하 폭은행 고정형 주담대: 평균 1.43% → 0.56% (0.87%p 인하)변동금리 신용대출: 평균 0.83% → 0.11% (0.72%p 인하)5대 시중은행:주담대: 0.55~0.75%p 인하기타 담보대출: 0.08%p 인하신용대출: 0.61~0.69%p 인하저축은행권:고정금리 주담대: 1.64% → 1.24% (0.4%p 인하)변동금리 신용대출: 1.64% → 1.33% (0.31%p 인하) ✓ 적용 대상 및 시기2025년 1월 13일 이후 체결되는.. 2025. 1. 22. 설 연휴 문 여는 병원 진료 받기 설 연휴는 가족과 함께하는 소중한 시간입니다. 하지만 갑작스러운 건강 문제는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죠. 특히 응급상황에서 문 여는 병원이나 약국을 찾지 못해 당황한 경험이 있으신가요? 이번 설 연휴에는 이런 걱정을 덜어드릴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합니다.설 연휴 기간에도 국민들이 안심하고 진료받을 수 있도록 응급의료 체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설 연휴 동안 문 여는 병·의원 및 약국 정보를 포함해, 호흡기 질환 및 비중증 응급환자들을 위한 대책을 알려드립니다. 호흡기 질환자와 비중증 응급환자를 위한 대책 ✓ 호흡기 질환자호흡기 질환자들은 발열클리닉과 협력 병원에서 진료받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. 119와 보건소에 증상과 고위험군 여부를 알리면 신속하게 적합한 병원을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.● .. 2025. 1. 22. K-패스 다자녀 혜택 알아보기 자녀가 두 명 이상이라면, 교통비 부담 줄일 방법은?자녀가 두 명 이상인 부모님이라면 매달 지출되는 교통비 부담이 고민일 겁니다. 이런 가정을 위해 2025년부터 새롭게 신설된 K-패스 다자녀 가구 유형은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는데요. 자녀가 2명 이상이고, 그중 한 명이라도 18세 이하라면 교통비를 최대 50%까지 절감할 수 있습니다. 지금부터 다자녀 교통비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법과 조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 K-패스 다자녀 가구 유형이란?2025년부터 기존 K-패스 유형(일반, 청년, 저소득층)에 다자녀 가구 유형이 새롭게 추가되었습니다.이 제도는 자녀를 둔 가구의 교통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마련되었으며, 아래 조건에 해당하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.✔️ 가입 조건:자녀가 2명 이상.. 2025. 1. 21. 2025년 새롭게 변하는 부동산 대출 및 제도 변경안 2025년 새해, 부동산 및 대출 제도에 많은 변화가 생기며, 내 집 마련을 꿈꾸는 분들에게 희소식이 될 다양한 혜택과 개편 사항이 있습니다. 신생아 특례대출 소득요건 완화 ✔️ 대상 주택: 9억 원 이하 주택✔️ 대출 조건: 연 1.6% ~ 3.3%의 저금리, 최대 5억원 한도✔️ 변경 내용: 맞벌이 소득요견: 연 2억 원 → 연 2.5억 원 (2025년 1월~2027년 말 한시적 적용) 추가 출산 시 우대금리: 0.2% → 0.4% 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 혜택 확대✔️ 배우자도 소득공제 가능: 세대주뿐 아니라 배우자도 연간 납입액의 40%, 최대 300만 원 공제 가능✔️ 청년우대형 저축 혜택: 이자소득세 비과세 대상 확대: 세대주 + 배우자 비과세 한도: 500만 원 빌라.. 2025. 1. 20. 이전 1 ··· 9 10 11 12 13 14 15 ··· 27 다음